Linux Foundation Certifications |
![]() |
시험 기본사항
시험비: 300 달러 (정상적 구매의 경우 1번 무료 재시험 가능)
시험시간: 2시간
사용언어: 영어
시험등록: 구매 시점부터 12달 안
커트라인: 100% 중 74% 이상(LFCE의 경우 72% 이상)
결과통보: 3영업일 내
리눅스 파운데이션 자격증을 선택해야 되는 이유
대표적인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 자격증 주관 기관인 리눅스 파운데이션은 리눅스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kernel.org를 운영하고 있으며, 또한 리눅스 창시자인 리누스 토발스(Linus Tovalds)가 고용되어있는 곳입니다. 자격증을 취득하셨을 때는 리눅스 원천으로부터 인정 받으실 수 있습니다.
• 리눅스 커뮤니티와 밀접한 연관이 있기에 커뮤니티 피드백을 통해 최신 상태로 정기적인 업데이트가 이루어진 자격증 시험에 응시하실 수 있습니다.
• 주요 리눅스 배포판(CentOS, Ubuntu 그리고 SUSE)으로 응시 가능한 실습 기반(performance-based) 자격증입니다.
• 자격증의 유일한 목적은 소프트웨어나 지원 서비스를 판매하는 것이 아닌 응시자의 리눅스 커리어를 높이는 것에 있습니다.
시험 세부사항
시험 형식
자격증 시험은 실습 기반입니다. 응시자는 본인이 선택한 배포판으로 명령어(CLI환경)를 작성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문제를 해결하여야 합니다. 시험 보안을 위해 스트리밍 방식의 오디오, 비디오, 스크린 공유 피드(feed)를 통해 감독관이 응시자의 시험 전반을 모니터합니다. 스크린 공유 피드는 추후에 검토가 필요할 경우를 대비하여 제한된 기간 동안만 보관됩니다.
응시자는 반드시 시스템, ID, 다른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시험응시가 가능합니다.
응시자는 시험등록시 아래에 있는 리눅스 배포판중 하나를 선택하셔야 합니다.
• CentOS 7
• openSUSE 13.1
• Ubuntu 14.04
시스템 요구사항
응시자가 시험을 보기 위해서는 Chrome 혹은 Chromium 브라우저가 설치되어있는 프론트 엔드(front-end) 컴퓨터(laptop 혹은 workstation), 안정적인 인터넷 접속, 웹캡(webcam)과 마이크(음성입력부분)가 있어야 됩니다. 자신의 리눅스 설치본이나 가상머신을 준비할 필요는 없습니다. 터미널 에뮬레이터를 사용한 브라우저 창을 통해 가상머신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응시자는 호환성 체크 도구를 사용하여 시스템과 테스팅 환경이 최소 요구사항을 만족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응시자 신분과 인증을 위한 id 요구사항
응시자는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기한이 만료되지 않은 허용 가능한 신분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여권, 운전면허증, 주민등록증 등. 시험에 앞서 허용 가능한 신분증이 보여주시질 못하실 경우, 시험 응시가 제한됩니다. 이런 경우, 환불 혹은 시험 날짜 조정이 불가능합니다.
그 밖에 다른 요구사항
응시자는 반드시 자격증 그리고 시험을 위한 정책과 조항 부분을 확인해야 합니다.
자격증 그리고 시험을 위한 정책과 조항
동의
리눅스 파운데이션 자격증 시험 응시자는 반드시 리눅스 파운데이션 자격증 및 비밀유지 동의서를 읽고 관련 규정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동의서는 모든 계약서에 적용됩니다. 유효한 자격증을 보유하고 공식적으로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본 동의서에 사인을 하고 준수하여야 합니다.
환불, 취소, 일정조정
환불, 취소, 일정조정에 관한 정책을 이해하려면 시험 등록 규정을 보셔야 합니다.
재시험 정책
무료로 재시험을 볼 수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얻으시려면 재시험 정책을 보셔야 합니다.
자격증 갱신 방법
리눅스 파운데이션 자격증은 2년의 유효기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격증 갱신을 위해서는 동일한 시험을 보셔야 되고, 시험을 통과하신 날부터 2년간 유효합니다.
응시자는 아래에 나와있는 갱신 요구사항중 하나 선택하여 자격증을 유효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 더 높은 수준의 자격증 취득(혹은 갱신).
유효한 LFCS 자격증을 가진 응시자가 LFCE 자격증을 획득한 날, LFCS 자격증 만료일이 2년으로 연장됩니다. 그렇게 되면 LFCE자격증 취득일과 LFCS 자격증 갱신일은 동일한 날이 되고, 말료일 또한 동일한 날이 됩니다.
• 최소 16시간의 계속 교육(Continuing Education) 수료.
자격증 보유자는 자격증 만료일 이전에 반드시 최소 16시간의 인정 계속 교육 활동을 수료하고 크레티드(credit)를 받은 후 신청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계속 교육 크레디트는 신청서를 제출한 날 현재 응시자가 가지고 있는 가장 높은 수준의 자격증에 적용됩니다. 16시간의 계속 교육은 반드시 자격증을 영역중에서 최소한 4개의 영역과 일치하여야 합니다. 또한 리눅스 어드민으로서의 경력을 향상시키는 것과 새로운 리눅스 관련 기술 세트가 계속 교육영역에 포함됩니다. (3개의 영역과 1개의 리눅스 관련 기술 세트, 4개의 영역, 4개의 새로운 리눅스 기술 관련 기술 세트 등의 조합이 가능합니다.)
필요한 계속 교육 요구사항을 만족시킨 자격증 보유자는 자격증 만료일에 다시 2년으로 연장시킬 수 있으며 이날이 갱신일입니다. (만료일 이전에 요구사항이 충족되었어도 만료일이 되어서야 갱신을 할 수 있습니다.)
응시자는 인정 계속 교육 활동들을 조합하여 갱신에 필요한 시간을 채울 수 있습니다. 자격증 보유자는 반드시 교육 수료 시간, 날짜, 응시자 이름을 보여주는 교육 제공자가 발급하는 지원 문서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이 문서는 최소 6년을 보유하셔야 합니다.
인정 계속 교육 활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입문자 수준이 아닌 리눅스 파운데이션의 개발자 과정이나 기업 과정
• 입문자 수준이 아닌 리눅스 파운데이션 공인 훈련 파트너의 교육이나 기존의 리눅스 교육 기관의 교육(SUSE, Red Hat, Oracle, Linux Academy, IBM, HP, Guru Labs 혹은 그 밖의 유사한 프로그램)
Linux Foundation Certified System Administrator (LFCS) 자격증
영역과 역량 개관
리눅스 파운데이션은 각 자격증에 적용할 수 있는 핵심 영역과 중요한 기술, 지식 그리고 역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산업계 전문가 및 리눅스 커널 커뮤니티와 협력하고 있습니다. 실습 기반 시험은 파악된 역량에 기반하여 개발되었습니다.
LFCS 시험에서 다루어지는 영역 및 그 세부요소 그리고 역량은 아래와 같습니다. 세부요소는 시험 전달 기술(delivery technology), 실습 기반의 문제, 그리고 시험시간 제한을 고려했을 때 시험에 가장 잘 나타날 것으로 여겨지는 주제입니다.
핵심 명령어 - 25%
• 그래픽 모드와 텍스트 모드 콘솔에 로그인 하기
• 파일 찾기
• 기본적인 파일 시스템 특징과 옵션을 평가하고 비교하기
• 텍스트 파일을 평가하고 비교하기
• 바이너리 파일 비교하기
• 입력-출력 리다이렉션 사용하기 (예. >, >>, |, 2>)
• 기본 정규식을 사용하여 텍스트 분석하기
• 파일을 보관하고, 백업하고, 압축하기 및 압축 풀기
• 파일과 디렉토리를 만들고, 제거하고, 복사하고, 이동하기
• 하드링크와 소프트링크 만들기
• 표준파일 권한의 목록을 나열하고, 설정하고, 변경하기
• 시스템 문서를 읽고 사용하기
• 루트 계정 접속 관리하기
러닝 시스템(running system) 운영 - 20%
• 시스템을 안정하고 부트하고, 재부트하고, 끄기
• 수동으로 시스템을 다른 runlevel로 부트하기
• 부트로더를 설치하고, 설정하고, 부트로더에서 발생하는 문제 해결하기
•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변경하기
• 프로세스에 의한 자원활용 식별하기
• 시스템 로그 파일의 위치를 파악하고 분석하기
• 설정된 날짜와 시간에 운영할 작업 스케줄 세우기
• 스케줄 작업이 완성되었음을 확인하기
• 요구되는 기능과 보안을 위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하기
• 자원의 무결성과 가용성 확인
• 핵심 프로세스의 무결성과 가용성 확인하기
• 커널 런타임 변수(영구적, 반영구적) 변경하기
• 시스템 유지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해 스크립팅 사용하기
• 시작 프로세스와 서비스 관리하기
• SELinux/AppArmor 파일과 프로세스 문맥의 목록을 나열하고 확인하기
• SELinux/AppArmor 정책을 설정하고 수정하기
• 자원을 통해 소프트웨어 설치하기
사용자 및 그룹 관리 - 15%
• 로컬 사용자 계정을 만들고, 지우고, 수정하기
• 로컬 그룹과 그룹 멤버십을 만들고, 지우고, 수정하기
• 시스템 범위의 환경 프로파일 관리하기
• 템플릿 사용자 환경 관리하기
• 사용자 자원 제한 설정하기
• 사용자 프로세스 관리하기
• PAM 설정하기
네트워킹 - 15%
• 네트워킹과 호스트 이름 변환을 정적 혹은 동적으로 설정하기
• 네트워크 서비스가 부팅시 자동으로 시작하도록 설정하기
• 패킷 필터링 구현하기
• 방화벽 세팅 설정하기
• 네트워크 서비스의 상태를 시작하고, 멈추고, 확인하기
• 정적으로 IP 트래픽 경로 설정하기
• 동적으로 IP 트래픽 경로 설정하기
• 다른 네트워크 피어를 이용하여 시간동기화하기
서비스 설정 - 10%
• 기본 DNS 서버 구성하기
• DNS 존을 유지하기
• FTP 서버 설정하기
• FTP 서버에 익명 사용자 전용 다운로드 설정하기
• NFS를 경유하여 네트워크 쉐어를 제공하고 설정하기
• CIFS를 경유하여 네트워크 쉐어를 제공하고 설정하기
• 이메일 별칭 설정하기
• SSH 서버와 클라이언트 설정하기
• 공개키/개인키 쌍을 이용하여 SSH 기반의 원거리 접속 설정하기
• 프록시 서버 접속 제한하기
• IMAP과 IMAPS 서비스 설정하기
• 다양한 런레벨에서의 시스템 서비스 행동을 질의하고 수정하기
• HTTP 서버 설정하기
• HTTP 서버 로그파일 설정하기
• 웹 페이지 접속 제한하기
• 정기적 SELinux/AppArmor 정책 위반 진단하기
• 데이터베이스 서버 설정하기
가상화 - 5%
• 가상 게스트를 관리하는 하이퍼바이저 설정하기
• VM 콘솔 접속하기
• 부팅시 가상머신을 시작하도록 시스템 구성하기
• 가상머신의 메모리 사용 값 구하기
• VM의 램과 스토리지 리사이징하기
저장소 관리 - 10%
• 저장소 파티션의 목록을 나열하고, 만들고, 지우고, 수정하기
• 논리 볼륨을 만들고, 수정하고, 지우기
• 존재하는 로컬 볼륨과 파일시스템을 확장하기
• 암호화된 파티션을 만들고 설정하기
• 부팅시 혹은 부팅 동안 파일시스템을 마운트하도록 시스템 설정하기
• 스왑 공간을 설정하고 관리하기
• 새로운 파티션과 논리볼륨을 추가하기
• RAID 장치로서 파티션 모으기
• 수요에 따라 표준/암호화된/네트워크 마운트하도록 시스템 설정하기
• 파일시스템 접근 제한 목록을 만들고 관리하기
• 파일 허가 문제를 진단하고 고치기
• 파일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및 그룹 디스크 할당 셋업하기
Linux Foundation Certified Engineer (LFCE) 자격증
네트워크 관리
• 부팅시 네트워크 서비스가 자동으로 시작되도록 구성하기
• 패킷 필터링 구현하기
• 네트워크 성능 구성하기
• 시스템 사용, 정전, 사용자 요청에 관한 보고서 작성 및 전달하기
• 정적 혹은 동적으로 IP 트래픽 라우트하기
• 네트워크 문제 해결하기
네트워크 파일시스템과 파일 서비스
• 요청에 따라 표준 파일 시스템, 암호화된 파일 시스템,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도록 구성하기
• 표준 리눅스 파일 시스템을 만들고, 마운트하고, 언마운트하기
• NFS로 네트워크 쉐어 제공 및 구성하기
•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을 안전하게 전달하기
• 네트워크, 저장소 혹은 로컬 파일 시스템으로 패키지 업데이트하기
네트워크 보안
• 아파치 로그 파일 구성하기
• iptables로 방화벽 구성하기
• 아파치로 SSL을 설치하고 구성하기
• 공개키쌍과 개인키쌍을 활용하여 SSH 기반의 원격 접속 구성하기
원격 접속
• iptables로 방화벽 구성하기
HTTP 서비스
• http 클라이언트가 자동적으로 프록시 서버를 사용하도록 구성하기
• 아파치 웹 서버를 설치하고 구성하기
• 스퀴드(Squid) 프록시 서버를 설치하고 구성하기
• 아파치로 웹페이지 접속 제한하기
• 스퀴드(Squid) 프록시 서버 접속 제한하기
• 이름 기반의 가상 웹 호스트 세팅하기
이메일 서비스
• 이메일 별칭 구성하기
• IMAP과 IMAPS 서비스를 설치하고 구성하기
• smtp 서비스를 설치하고 구성하기
• smtp 서버 접속 제한하기